충남쉬운정보센터 

장애 관련 다양한 정보를 제공해요

충남쉬운정보센터 

장애 관련 다양한 정보를 제공해요

장애관련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충남쉬운정보센터

충남쉬운정보센터

장애 관련 다양한 정보 제공

드롭다운 메뉴

HOME  >  충남쉬운정보센터  > 장애를이해해요  >  장애정도기준

장애정도기준

◀ 손가락을 이용하여 탭을 좌우로 스크롤하세요 ▶

신체의 일부를 잃은 사람

장애 정도 판정 기준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
  • 두 손의 엄지손가락과 둘째손가락을 잃은 사람
  • 한 손의 모든 손가락을 잃은 사람
  • 두 다리를 가로발목뼈관절(Chopart’s joint) 이상의 부위에서 잃은 사람
  • 한 다리를 무릎관절 이상의 부위에서 잃은 사람
장애의 정도가 심하지 않은 장애인
  • 한 손의 엄지손가락을 잃은 사람
  • 한 손의 둘째손가락을 포함하여 두 손가락을 잃은 사람
  • 한 손의 셋째손가락, 넷째손가락 및 다섯째손가락을 모두 잃은 사람
  • 한 다리를 발목발허리관절(lisfranc joint) 이상의 부위에서 잃은 사람
  • 두 발의 발가락을 모두 잃은 사람

관절 장애가 있는 사람

장애 정도 판정 기준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
  • 두 팔의 어깨관절, 팔꿈치관절, 손목관절 중 2개 관절기능에 상당한 장애가 있는 사람
  • 두 팔의 어깨관절, 팔꿈치관절, 손목관절 모두의 기능에 장애가 있는 사람
  • 두 손의 엄지손가락과 둘째손가락의 관절기능에 현저한 장애가 있는 사람
  • 한 손의 모든 손가락의 관절기능에 현저한 장애가 있는 사람
  • 한 팔의 어깨관절, 팔꿈치관절, 손목관절 중 2개 관절기능에 현저한 장애가 있는 사람
  • 한 팔의 어깨관절, 팔꿈치관절, 손목관절 모두의 기능에 상당한 장애가 있는 사람
  • 두 다리의 엉덩관절, 무릎관절, 발목관절 중 2개 관절기능에 현저한 장애가 있는 사람
  • 두 다리의 엉덩관절, 무릎관절, 발목관절 모두의 기능에 상당한 장애가 있는 사람
  • 한 다리의 엉덩관절, 무릎관절, 발목관절 모두의 기능에 현저한 장애가 있는 사람
장애의 정도가 심하지 않은 장애인
  • 한 손의 둘째손가락을 포함하여 3개 손가락의 관절기능에 상당한 장애가 있는 사람
  • 한 손의 엄지손가락의 관절기능에 상당한 장애가 있는 사람
  • 한 손의 둘째손가락을 포함하여 2개 손가락의 관절기능에 현저한 장애가 있는 사람
  • 한 손의 셋째손가락, 넷째손가락, 다섯째손가락 모두의 관절기능에 현저한 장애가 있는 사람
  • 한 팔의 어깨관절, 팔꿈치관절, 손목관절 모두의 기능에 장애가 있는 사람
  • 한 팔의 어깨관절, 팔꿈치관절 또는 손목관절 중 하나의 기능에 상당한 장애가 있는 사람
  • 두 발의 모든 발가락의 관절기능에 현저한 장애가 있는 사람
  • 한 다리의 엉덩관절, 무릎관절, 발목관절 모두의 기능에 장애가 있는 사람
  • 한 다리의 엉덩관절 또는 무릎관절의 기능에 상당한 장애가 있는 사람
  • 한 다리의 발목관절의 기능에 현저한 장애가 있는 사람

지체 기능 장애가 있는 사람

장애 정도판정 기준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
  • 두 팔의 기능에 상당한 장애가 있는 사람
  • 두 손의 엄지손가락 및 둘째손가락의 기능을 잃은 사람
  • 한 손의 모든 손가락의 기능을 잃은 사람
  • 한 팔의 기능에 현저한 장애가 있는 사람
  • 한 다리의 기능을 잃은 사람
  • 두 다리의 기능에 현저한 장애가 있는 사람
  • 목뼈 또는 등.허리뼈의 기능을 잃은 사람
장애의 정도가 심하지 않은 장애인
  • 한 팔의 기능에 상당한 장애가 있는 사람
  • 한 손의 둘째손가락을 포함하여 세 손가락의 기능에 상당한 장애가 있는 사람
  • 한 손의 엄지손가락의 기능에 상당한 장애가 있는 사람
  • 한 손의 둘째손가락을 포함하여 두 손가락의 기능을 잃은 사람
  • 한 손의 셋째손가락, 넷째손가락 및 다섯째손가락 모두의 기능을 잃은 사람
  • 두 발의 모든 발가락의 기능을 잃은 사람
  • 한 다리의 기능에 상당한 장애가 있는 사람
  • 목뼈 또는 등.허리뼈의 기능이 저하된 사람

신체에 변형 등의 장애가 있는 사람

장애 정도 판정 기준
장애의 정도가 심하지 않은 장애인
  • 한 다리가 건강한 다리보다 5센티미터 이상 짧거나 건강한 다리 길이의 15분의 1이상 짧은 사람
  • 척추옆굽음증(척추측만증)이 있으며, 굽은 각도가 40도 이상인 사람
  • 척추뒤굽음증(척추후만증)이 있으며, 굽은 각도가 60도 이상인 사람
  • 성장이 멈춘 만 18세 이상의 남성으로서 신장이 145센티미터 이하인 사람
  • 성장이 멈춘 만 16세 이상의 여성으로서 신장이 140센티미터 이하인 사람
  • 연골무형성증으로 왜소증에 대한 증상이 뚜렷한 사람

뇌병변장애인

장애 정도 판정 기준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
  • 보행 또는 일상생활동작이 상당이 제한된 사람
  • 보행이 경미하게 제한되고 섬세한 일상생활동작이 현저히 제한된 사람
장애의 정도가 심하지 않은 장애인
  • 보행 시 절뚝거림을 보이거나 섬세한 일상생활동작이 경미하게 제한된 사람

시각장애인

장애 정도판정 기준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
  • 좋은 눈의 시력(공인된 시력표를 측정한 것을 말하며, 굴절이상이 있는 사람은
    최대 교정시력을 기준으로 한다. 이하 같다)이 0.06 이하인 사람
  • 두 눈의 시야가 각각 모든 방향에서 5도 이하로 남은 사람
장애의 정도가 심하지 않은 장애인
  • 좋은 눈의 시력이 0.2 이하인 사람
  • 두 눈의 시야가 각각 모든 방향에서 10도 이하로 남은 사람
  • 두 눈의 시야가 각각 정상시야의 50퍼센트 이상 감소한 사람
  • 나쁜 눈의 시력이 0.02 이하인 사람

청력을 잃은 사람

장애 정도판정 기준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
  • 양측 평형기능의 소실로 두 눈을 뜨고 직선으로 10미터 이상을 지속적으로 걸을 수 없는 사람
장애의 정도가 심하지 않은 장애인
  • 평형기능의 감소로 두 눈을 뜨고 10미터 거리를 직선으로 걸을 때 중앙에서 60센티미터 이상 벗어나고, 복합적인 신체운동이 어려운 사람

평형 기능에 장애가 있는 사람

장애 정도판정 기준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
  • 두 귀의 청력을 각각 80데시벨 이상 잃은 사람(귀에 입을 대고 큰소리로 말을 해도 듣지 못하는 사람
장애의 정도가 심하지 않은 장애인
  • 두 귀에 들리는 보통 말소리의 최대의 명료도가 50퍼센트 이하인 사람
  • 두 귀의 청력을 각각 60데시벨 이상 잃은 사람(40센티미터 이상의 거리에서 발성된 말소리를 듣지 못하는 사람)
  • 한 귀의 청력을 80데시벨 이상 잃고, 다른 귀의 청력을 40데시벨 이상 잃은 사람

언어장애인

장애 정도판정 기준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
  • 음성기능이나 언어기능을 잃은 사람
장애의 정도가 심하지 않은 장애인
  • 음성·언어만으로는 의사 소통을 하기 곤란할 정도로 음성기능이나 언어기능에 현저한 장애가 있는 사람

안면장애인

장애 정도판정 기준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
  • 노출된 안면부의 75퍼센트 이상이 변형된 사람
  • 노출된 안면부의 50퍼센트 이상이 변형되고 코 형태의 3분의 2 이상이 없어진 사람
장애의 정도가 심하지 않은 장애인
  • 노출된 안면부의 45퍼센트 이상이 변형된 사람
  • 코 형태의 3분의 1 이상이 없어진 사람

지적장애인

장애 정도판정 기준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
  • 지능지수가 70 이하인 사람으로서 교육을 통한 사회적.직업적 재활이 가능한 사람
장애의 정도가 심하지 않은 장애인
  • 해당 없음

자폐성장애인

장애 정도판정 기준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
  • 제10차 국제질병사인분류(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10th Version)의 진단기준에 따른 전반성발달장애(자폐증)로 정상발달의 단계가 나타나지 않고, 기능 및 능력 장애로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에 간헐적인 도움이 필요한 사람

정신장애인

장애 정도판정 기준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
  • 조현병으로 인한 망상, 환청, 사고장애 및 기괴한 행동 등의 양성증상이 있으나, 인격변화나 퇴행은 심하지 않은 경우로서 기능 및 능력 장애로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에 간헐적으로 도움이 필요한 사람
  • 양극성 정동장애(情動障碍, 여러 현실 상황에서 부적절한 정서 반응을 보이는 장애)에 따른 기분.의욕.행동 및 사고의 장애증상이 현저하지는 않으나, 증상기가 지속되거나 자주 반복되는 경우로서 기능 및 능력 장애로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에 간헐적으로 도움이 필요한 사람
  • 재발성 우울장애로 기분.의욕.행동 등에 대한 우울 증상기가 지속되거나 자주 반복되는 경우로서 기능 및 능력장애로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에 간헐적으로 도움이 필요한 사람
  • 조현정동장애(調絃情動障碍)로 가목부터 다목까지에 준하는 증상이 있는 사람

신장 장애인

장애 정도판정 기준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
  • 만성신부전증으로 3개월 이상 혈액투석이나 복막투석을 받고 있는 사람
장애의 정도가 심하지 않은 장애인
  • 신장을 이식 받은 사람

심장장애인

장애 정도판정 기준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
  • 심장 기능의 장애가 지속되며, 가정에서 가벼운 활동은 할 수 있지만 그 이상의 활동을 하면 심부전증상이나 협심증증상 등이 나타나 정상적인 사회활동을 하기 어려운 사람
장애의 정도가 심하지 않은 장애인
  • 심장을 이식받은 사람

간장애인

장애 정도판정 기준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
  • 간경변증, 간세포암종 등 만성 간질환을 가진 것으로 진단받은 사람 중 잔여 간기능이 만성 간질환 평가척도(Child-Pugh score) 평가상 C등급인 사람
  • 간경변증, 간세포암종 등 만성 간질환을 가진 것으로 진단받은 사람 중 잔여 간기능이 만성 간질환 평가척도(Child-Pugh score) 평가상 B등급이면서 난치성 복수(腹水)가 있거나 간성뇌증 등의 합병증이 있는 사람
장애의 정도가 심하지 않은 장애인
  • 간을 이식받은 사람

호흡기장애인

장애 정도판정 기준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
  • 만성호흡기 질환으로 기관절개관을 유지하고 24시간 인공호흡기로 생활하는 사람
  • 폐나 기관지 등 호흡기관의 만성적인 기능장애로 평지에서 보행해도 호흡곤란이 있고, 평상시의 폐환기 기능(1초시 강제날숨량) 또는 폐확산능(폐로 유입된 공기가 혈액내로 녹아드는 정도)이 정상예측치의 40퍼센트 이하이거나 안정시 자연호흡상태에서의 동맥혈 산소분압이 65밀리미터수은주(mmHg) 이하인 사람
장애의 정도가 심하지 않은 장애인
  • 폐를 이식받은 사람
  • 늑막루가 있는 사람

장루 · 요루장애인

장애 정도판정 기준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
  • 배변을 위한 말단 공장루를 가지고 있는 사람
  • 장루와 함께 요루 또는 방광루를 가지고 있는 사람
  • 장루 또는 요루를 가지고 있으며, 합병증으로 장피누공 또는 배뇨기능장애가 있는 사람
장애의 정도가 심하지 않은 장애인
  • 장루 또는 요루를 가진 사람
  • 방광루를 가진 사람

뇌전증장애인(성인뇌전증)

장애 정도판정 기준
장애정도
  • 만성적인 뇌전증에 대한 적극적인 치료에도 불구하고 연 6회 이상의 발작(중증 발작은 월 5회 이상을 연 1회, 경증 발작은 월 10회 이상을 연 1회로 본다)이 있고, 발작으로 인한 호흡장애, 흡인성 폐렴, 심한 탈진, 두통, 구역질, 인지기능의 장애 등으로 요양관리가 필요하며, 일상생활 및 사회생활에서 보호와 관리가 수시로 필요한 사람
장애의 정도가 심하지 않은 장애인
  • 만성적인 뇌전증에 대한 적극적인 치료에도 불구하고 연 3회 이상의 발작(중증 발작은 월 1회 이상을 연 1회, 경증 발작은 월 2회 이상을 연 1회로 본다)이 있고, 이에 따라 협조적인 대인관계가 곤란한 사람

뇌전증장애인(소아청소년 뇌전증)

장애 정도판정 기준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
  • 전신발작, 뇌전증성 뇌병증, 근간대(筋間代) 발작, 부분발작 등으로 요양관리가 필요하며, 일상생활 및 사회생활에서 보호와 관리가 수시로 필요한 사람
장애의 정도가 심하지 않은 장애인
  • 전신발작, 뇌전증성 뇌병증, 근간대(筋間代) 발작, 부분발작 등으로 일상생활 및 사회생활에서 보호와 관리가 필요한 사람

중복된 장애의 합산 판정

    판정 기준
  • 정도가 심하지 않은 장애를 둘 이상 가진 장애인은 보건복지부장관이 고시하는 바에 따라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으로 볼 수 있다.
  • 다만, 다음 각 목의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
    • 지체장애와 뇌병변장애가 같은 부위에 중복된 경우
    • 지적장애와 자폐성장애가 중복된 경우
    • 그 밖에 중복장애로 합산하여 판정하는 것이 타당하지 않다고 보건복지부장관이 정하는 경우

충남쉬운정보센터
소통해요

개인정보처리방침

“충청남도서부장애인종합복지관”은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이용자의 개인정보 보호 및 권익을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이용자의 고충을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처리방침을 두고 있습니다. 고객님의 정보는 개인의 소중한 자산인 동시에 복지관 운영의 중요한 자료가 됩니다. 그러므로 복지관 운영상의 모든 과정에서 고객님의 개인정보를 보호하는데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을 약속 드립니다. 복지관은 개인정보처리방침을 개정하는 경우 웹사이트를 통하여 공지할 것입니다.

제 1장. 개인정보 수집 동의절차

복지관은 귀하께서 웹사이트의 개인정보보호방침 또는 이용약관의 내용에 대해 (동의한다)버튼 또는 (동의하지 않는다)버튼을 클릭할 수 있는 절차를 마련하여 (동의한다)버튼을 클릭하면 개인정보 수집에 대해 동의한 것으로 봅니다.

제 2장.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 목적

복지관은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처리한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사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될 시 사전동의를 구할 예정입니다.

  • 가. 성명, 아이디, 비밀번호 : 회원 가입의사 확인, 서비스 부정이용 방지 등
  • 나. 이메일주소, 전화번호 : 고지사항 전달, 불만 처리 등
  • 다. 주소, 전화번호 : 경품 및 물품 배송

제 3장. 광고정보의 전송

  • 가. 명시적 수신거부 의사에 반하여 영리목적 광고 미전송
  • 나. 전자우편 등으로 서비스 정보 제공 시 법령 준수
  • 다. 광고성 정보는 제목 및 본문에 쉽게 인지 가능하게 조치

제 4장. 개인정보의 수집범위

회원제 서비스 이용 시 다음 정보를 입력해야 합니다.

  • 가. 수집항목: 이름, 이메일, 생년월일, 주소, 전화번호 등
  • 나. 수집방법: 홈페이지 회원가입 및 게시판 이용 등

제 5장.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달성 후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단, 다음의 경우는 예외입니다.

  • - 보존항목: 이름, ID, 이메일 등 / 보존기간: 1개월
  • - 관련 법령에 따른 보존: 소비자 분쟁 처리 기록 3년

제 6장. 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 - 절차: 목적 달성 후 별도 DB로 이동 후 파기
  • - 기한: 종료일부터 5일 이내
  • - 방법: 전자파일은 복구 불가능한 방식으로 삭제

제 7장.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 조치

  • 가. 개인정보 취급 직원 최소화 및 교육
  • 나. 개인정보 및 중요 데이터 암호화

제 8장.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작성

복지관은 고객님의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최선을 다합니다.
개인정보 관련 문의는 개인정보 보호책임자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이다운 | 대표전화 : 041-934-7230~2 | 이메일 : westrc@westrc.or.kr

제 9장. 의견수렴 및 불만처리

고객센터를 통해 성실한 답변을 제공하며, 도용된 개인정보에 대해 즉시 조치합니다.

개인정보 관련 외부 기관:

제 10장. 고지의 의무

이 방침은 시행일부터 적용되며, 변경 시 7일 전부터 공지합니다.